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글자크기 화면 확대 화면 축소

수학 주제탐구

    분야소개

    수학 주제탐구는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 내용 중 흥미로운 소재를 찾아 더 깊이 또는 넓게 탐구해보는 활동입니다. 탐구를 통해 얻은 결과물을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하며, 함께 지식을 공유하고 배우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합니다. 2025년부터 수학 주제탐구 대회가 새로운 모습으로 찾아옵니다! 지금까지는 문서 형식으로 작성되어 많은 사람들이 탐구 결과물을 쉽게 접하기 어려웠습니다. 올해부터는 포스터 형식으로 전환하여 학생들의 탐구 자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도록 변화합니다. 포스터 형식은 탐구 결과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구성되며,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탐구 과정과 결과를 더욱 돋보이게 할 것입니다. 이제 탐구의 즐거움을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수학의 매력을 더욱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가 열립니다!

참가 자격

  • 대상 : 고
  • 참가제한 : 팀(1~3명) 참가이며, 1팀 1작품 학교당 3팀 이내로 제한

주제

  • 학생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거나 궁금해 할 수 있는 주제
  • 대중이 흥미로워할 주제를 쉽게 풀어내어, 궁금증을 해결하는 탐구
  • 수학 주제탐구 교과목 권장 범위 안내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수학과 과목: 공통수학1, 2(기본수학1, 2), 대수, 미적분1, 확률과 통계, 미적분2, 기하, 경제수학, 인공지능 수학, 수학과 문화, 실용통계, 수학과제탐구를 권장함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수학과 과목: 공통수학, 수학1, 수학2,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경제수학, 실용수학, 수학과제탐구, 인공지능 수학을 권장함
    • 과학 계열 선택과목(전문수학, 이산수학, 고급 대수, 고급 미적분, 고급기하, 심화수학1, 심화수학2, 고급수학1, 고급수학2) 및 고등학교 수학과 과목 수준을 넘어서는 내용은 권장하지 않음.
  • 충북 수학축제에서 익숙하게 다뤄진 주제의 심화 혹은 확장
  • 주제 예시
    • 비례와 비율의 실생활 문제 해결, 이해하기 쉬운 바퀴의 역설
    • 수학 문제풀이 꿀팁 50가지
    • 복소수의 정의와 성질을 이용해서 진동과 파동 문제 해결
    • 피보나치 수열이 자연 속에서 나타나는 현상 분석

형식

  • 컴퓨터를 이용해 한글, 파워포인트 등의 디자인 파일로 제작(*폰트 저장 필수)
  • 크기: A1(594x841mm ~ 600x900mm, A4 8장 크기), 세로 방향만 가능
  • PNG 파일(이미지) 형태의 실제 사이즈로 출력이 가능한 해상도로 제출
    • 파일 최대 크기는 5MB 미만으로 조정
  • 내용 설명에 한글/워드 기준 15pt 이상의 폰트 사용을 권장함
  • 수학 주제탐구 작성 틀을 준수할 것
    • 탐구 동기 – 탐구 목표 및 목적 – 탐구 방법 및 절차 – 이론적 배경 – 탐구 내용 – 결과 분석 및 결론 – 탐구의 한계 및 제언 – 참고문헌

세부 일정

참가 신청

  • 신청 기간: 2025. 4. 21.(월) ~ 4. 25.(금)
  • 제출 서류: [서식1] 참가신청서
  • 제출 방법: 자료집계시스템으로 제출

작품 제출

  • 제출 기간: 2025. 5. 12.(월) ~ 5. 16.(금)
  • 제출 서류: [서식1] 참가신청서, 작품
  • 제출 방법: 서식-자료집게시스템, 작품-소통메신저(교육연구사 장경환) 제출

심사

  • 1차 심사일: 2025. 5. 19.(월) 16:00
    • 학생 참석 안함
    • 서류 및 프로그램 심사 후 2차 심사 대상자는 공문으로 발송
  • 2차 심사일: 2025. 5. 23.(금) 13:00
    • 학생은 심사 당일 12:40까지 등록할 것(대기실은 3층 세미나실)
  • 심사 장소: 충북자연과학교육원 이상설실
  • 결과 발표: 5. 30.(금) 15:00 공문 발송 예정
  • 심사 방법: 탐구 내용의 수학적 깊이와 정확성(30점), 창의성과 독창성(30점), 논리성과 발표 완성도(20점), 교과서 연계성과 활용 가능성(10점), 팀워크와 노력(10점)

※ 평가의 주안점

심사항목 평가 주안점
탐구 내용의 수학적 깊이와 정확성
(30점)

수학적 정확성

  • 수학적 개념, 원리, 공식 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했는가?
  • 오류나 잘못된 논리 없이 정확히 설명했는가?

수학적 깊이

  • 주제와 관련된 수학적 내용을 얼마나 심도 있게 탐구했는가?
  • 기존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제를 정의하거나 창의적인 접근을 시도했는가?
창의성 및 독창성
(30점)

주제 선정의 창의성

  • 주제가 새롭거나 기존의 주제를 참신하게 재해석했는가?
  • 일상 속에서 수학과 연결된 흥미로운 문제를 발견했는가?

발표 형식 및 구성의 창의성

  •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이 독창적이고 흥미로운가?
  • 시각 자료(포스터, 그래프, 이미지 등)를 창의적 활용했는가?
논리성과 발표 완성도
(20점)

논리적 전개

  • 탐구의 과정이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전개되었는가?
  • 탐구의 목적과 결과가 연결되어 있는가?

발표의 완성도

  • 포스터가 시각적으로 정리되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가?
  • 발표 시 전달력이 뛰어나고, 청중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가?
교과서 연계성 및 활용 가능성
(10점)

연계성과 유용성

  • 주제가 교과서와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가?
  • 탐구 결과가 교육적,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가?
팀워크와 노력
(10점)

협력과 역할 분담

  • 팀원 간 협력과 역할 분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가?
  • 탐구와 발표 준비 과정에서의 노력과 열정은 우수한가?

자료관리 담당자

  • 담당부서 : 융합인재부
  • 전화번호 : 043-229-1823